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직장인 정기검진 항목 비교 | 회사 다닌다고 다 같은 검진 받는 거 아닙니다

by 사랑담 2025. 7. 7.
반응형

직장 다닌다고 해서 모두 똑같은 건강검진을 받는 게 아니라는 거, 알고 계셨나요?
저도 처음 회사 들어갔을 땐 그냥 “검진 받으라니까 받는 거지” 했는데, 부서 옮기고 나서 항목이 달라졌더라고요.
오늘은 직장인이라면 알아야 할 검진 항목 차이를 정리해드릴게요.


 

 

정기검진, 직장인이라고 다 똑같을까?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정기검진은 기본적으로 직장가입자에게 의무로 진행됩니다. 하지만 사무직과 비사무직에 따라 검진 항목과 주기가 다를 수 있다는 사실, 의외로 모르는 분들이 많아요.

또한 고용 형태나 업종, 심지어 일하는 시간대에 따라도 검진 방식에 차이가 생깁니다.


사무직 vs 비사무직 정기검진 비교

 

 

 

 

직장인 정기검진은 사무직과 비사무직(현장근로자)으로 나누어져 검진 주기와 일부 항목이 다릅니다.

구분 사무직 비사무직
검진 주기 2년에 1회 매년 1회
특수검진 대체로 없음 있음 (작업환경에 따라)
업무 위험도 낮음 높음

비사무직은 소음, 분진, 화학약품 등 위험 환경에서 일할 가능성이 높아 정기검진 외에 특수건강검진이 포함되기도 합니다.


공통으로 포함되는 기본 검진 항목

직종과 관계없이 모든 직장인에게 적용되는 기본 검진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장, 체중, 혈압 측정
  • 시력, 청력 검사
  • 혈액검사 (간기능, 고지혈증, 당뇨 등)
  • 흉부 X-ray (폐 질환 확인)
  • 소변 검사
  • 구강검진

저는 예전 직장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인지 간수치가 높게 나왔던 적이 있어요. 그때부터 간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는 식단과 운동을 시작했고, 다음 해엔 정상으로 돌아왔죠.


검진 받을 때 유의할 점

정기검진을 받을 때 다음 사항들을 미리 챙겨두면 좋습니다.

  • 검진 대상자 여부 확인: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가능
  • 공복 유지: 혈액검사는 8시간 이상 금식 필요
  • 검진 결과 확인: 이메일 또는 우편으로 발송되며, 병원에서도 확인 가능

또한 검진 결과 수치가 경계선에 있다면 바로 병원 진료로 이어지는 게 좋습니다. “문제 없겠지” 하고 넘겼다가 후회하는 경우도 많거든요.

✔️ 직장인 건강검진 대상 확인하고 가까운 병원 예약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바로가기

반응형